Uigwe, The Royal Protocols of the Joseon Dynasty 조선 왕조 의궤  -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 대한민국

#등재연도
 : 2007년

#등재 이유 :
- 의궤에는 조선 왕조 500여 년 중 300년에 걸친 유교 의식의 변화와 발전이 시대와 주제별로 분류되어 있다. 동아시아 유교 국가 중 한국에만 있는 중요한 기록물이며, 조선시대 건축과 무형유산을 재건하기 위한 훌륭한 자료이다.

#소장 기관 :
- 서울, 대한민국(서울대학교 규장각)
- 성남, 대한민국(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설명 :
- 조선 왕조 의궤는 조선 왕조(1392~1910년)의 왕실 의례에 관한 기록물로, 왕실의 혼인, 장례 등 중요한 의식과 의전 형식 뿐만 아니라 궁전 건축과 묘 축조 등 국가와 왕실에서 행해진 여러 행사나 사업의 과정을 다양한 측면에서 글과 그림으로 자세하게 담고 있다.

- 의궤는 일종의 모범적 사례모음집으로, 임금에게 보고하기 위한 보고서로서의 성격도 있다. 특정 의식의 준비 과정부터 마지막까지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어, 향후 유사한 행사를 진행시 지침서가 되어준다. 


# 주제별 분류 :
- 태실 관련 의궤 : 왕자들의 태를 봉안한 기록
- 국장도감의궤 : 국왕 등의 장례 절차를 기록
- 가례도감의궤 : 왕실의 혼례에 대한 기록
- 실록 관련 의궤 : '조선왕조실록'의 편찬과 보관을 담당했던 실록청에서 기록
- 종묘의궤와 사직서의궤 : 조선의 통치 질서와 관련된 종묘사직의 증축이나 의식 관리를 기록
- 보인(寶印) 관련 의궤 : 왕실에서 사용한 어보 등의 제작과 관리에 관한 기록
- 대사례의궤 : 대사례 행사를 준비하고 진행한 경과를 기록
- 화성성역의궤 : 정조 때 화성을 축성한 내용을 기록

- 의궤는 실록이나 각종 자료에 기록되지 않은 궁중생활문화를 알 수 있는 중요한 사료로, 그림 자료는 당시의 의례와 의식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 문화재 복원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한국전쟁 때 파손된 수원화성이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될 수 있었던 것은 '화성성역의궤'에 의해 완벽한 복원이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 의궤는 왕의 장례나 궁궐 축조 등 국가의 중대사를 관장하는 독립된 임시기관인 도감에서 편찬 간행한다.

1887년 프랑스 공사가 가져가 파리동양어학교에 기증한 정리의궤.

의궤는 필사본과 활자본 두 종류로 제작되며, 대략 5~9부 정도를 제작해, 1부는 임금이 보고를 받거나 향후 열람하기 위해 제작한 어람용으로 규장각에서 보관하고, 나머지 분상용은 여러 사고에 분산되어 보관했다.

- 현재까지 발굴된 의궤는 3,895권이 넘지만,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된 것은 총 3,430권으로, 서울에 있는 서울대 규장각 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되어 있는 546종 2,940책과, 분당에 있는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는 287종 490책이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

블로그 이미지

seesun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922)
책장정리 (37)
주식 이야기 (9)
[여행] (3)
뉴스브리핑 (853)
[집에서 먹는 음식] (7)
[밖에서 먹는 음식] (1)
memo (0)
1man res (0)
유네스코 세계유산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