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가 대변에 평균 22일, 최장 26일까지 생존했다는 중국의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7일 국내에서 코로나19 완치 후 재양성 판정을 받은 확진자는 51명입니다. 코로나19 재양성 사례가 증가하자, 방역당국은 국내 재양성 사례가 재감염보다는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재활성화한 것에 무게를 두고 역학조사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또 완치자 혈액에 바이러스 항체가 얼마나 형성되고, 살아있는 바이러스를 분리·배양할 수 있는지 분석하기로 했습니다.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 본부장은 정례브리핑에서 "병원 또는 생활치료센터 확진자 중 진단검사에서 줄곧 음성으로 나오다가 다시 양성으로 확인되는 사례가 많다"며 "몸에 항체가 생겨도 RT-PCR(실시간 유전자 증폭검사)에서 양성으로 나타나는 사례가 있었다"고 밝혔습니다.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재활성화하는 원인은 아직 역학적으로 규명되지 않았지만, 국내에 50명 넘게 발생한 것에 비춰볼 때 완치자 관리에 구멍이 생긴 것은 분명하다. 특히 화장실 변기를 통한 교차감염 위험이 급부상하고 있습니다.

김우주 고대구로병원 교수는 "코로나19 재양성 확진자는 앞으로 호흡기 검체뿐만 아니라 대변 검체를 이용한 추가적인 검사가 필요하다"며 "중국 사례만 봐도 대변에 의한 교차감염 위험을 무시하기 어렵다"고 지적했습니다. 완치자가 격리해제 이후에도 대변을 통해 극소량의 코로나19 바이러스를 배출하고, 같은 변기를 사용한 가족에게 추가로 전파될 가능성이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중국 과학아카데미는 지난 1월 20일부터 2월 23일까지 코로나19 중증 및 경증 확진자 등 24명을 대상으로 바이러스 배출 특성을 분석하는 연구를 진행해, 확진자 12명 중 10명(83.3%)의 대변 검체에서 코로나19 양성 반응이 나왔습니다. 확진자가 대변으로 바이러스를 배출하는 기간은 평균 22일로 호흡기 검체 10일에 비해 2.2배로 길었습니다.

이런 특성을 고려할 때 재양성 확진자를 대상으로 호흡기 검체 외에 대변도 함께 검사해야 한다는 게 김우주 교수의 주장으로 권고하는 소독법은 대변을 본 뒤 가정용 락스를 이용해 변기를 구석구석 닦는 것입니다.

김우주 교수는 "확진자 검체 중 대변에 가장 오랫동안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살아남았다"며 "재양성 사례가 늘어나는 만큼 완치자에 대한 대변 검체 역학조사를 함께 진행할 필요성이 있다"고 재차 강조했다.

그는 이어 "앞으로 완치자가 격리해제 후 2주일 동안 추가로 자가격리를 하도록 정부 지침을 바꿔야 한다"며 "특히 자가격리 기간에 집에서 공간을 분리하고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 외에 화장실 소독 문제도 신경을 더 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블로그 이미지

seesun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926)
책장정리 (37)
생활 속 이야기 (2)
주식 이야기 (9)
[여행] (3)
뉴스브리핑 (854)
[집에서 먹는 음식] (7)
[밖에서 먹는 음식] (1)
memo (0)
1man res (0)
유네스코 세계유산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