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정적으로 위성의 궤도 안착하며 2차 발사에 성공한 누리호는 2010년부터 개발되기 시작했으며, 총 길이 47.2m, 중량 200톤 규모로 1.5톤급 실용위성을 지구 저궤도에 투입할 능력을 갖추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소재부터 부품, 조립, 성능 검증까지 모두 국내 기술로 만들어진 누리호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3백여 개의 국내 기업이 합작했습니다.

75톤급 액체 엔진부터, 대형추진제 탱크와 초고온 가스 등이 흐르는 배관 등 주요 부품 대부분을 국내 기술로 만들었습니다.

12년 석 달 동안 누리호 개발에 참여한 한국항공우주산업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등 경남의 기업과 연구 인력들이 함께 기쁨을 나눴습니다.



정부는 고도화 사업을 통해 2027년까지 누리호를 4차례 더 발사하고, 발사체 기술을 민간으로 이전해 우주발사체 분야의 '체계종합 기업'을 키울 예정입니다.

AP통신은 “한국의 첫 국산 우주발사체인 누리호가 2번째 도전에서 성공해 실용급 위성을 발사할 수 있는 7번째 국가가 됐다”고 했습니다.

로이터통신은 “누리호는 6G 통신, 정찰 위성, 달 탐사 분야에서 야심찬 목표를 달성하려는 한국 계획의 초석”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프랑스 AFP통신은 누리호 발사 성공을 통해 한국의 우주 프로그램이 크게 진일보했다고 평가했습니다.


일본 닛케이아시아는 “한국은 자체 기술로 위성을 궤도에 올릴 수 있는 10번째 국가이자 1톤 이상의 위성을 발사할 수 있는 7번째 국가가 됐다”고 설명했습니다.

중국 인민일보 해외망은 “한국은 12년가량 약 2조원의 예산을 투입해 누리호 발사에 성공해 세계 7번째 자체 위성 발사국이 됐다”고 전했습니다.

 


공무원 피격 사건 당시 국방부는 '월북'이라고 발표를 했다가 최근 입장을 바꿨습니다. 당시 우리군은 북한군의 보고 내용을 포착했는데, 거기에 '월북'을 의미하는 북한식 표현이 있었던 걸로 파악됐습니다.

공무원 이대준 씨 피격 사건 당시 서욱 국방부 장관은 '월북 의사가 있었던 것으로 보여진다는 정보를 종합해 따른 결론'이라고 했습니다. 서 전 장관이 언급한 정보는 우리 군의 SI, 즉 특별취급정보는 공개하기 힘든 경로로 파악된 특수 정보로 특히 북한군의 동향 등이 주요 내용입니다.

국방부의 비공개 회의록을 열람한 국방위 핵심 관계자는 "북한군 보고에 월북이란 단어는 없었지만, 월북을 의미하는 북한식 표현이 있었다"고 전했습니다. 국방부가 당시 북한군 무전 내용을 포착해 내용을 파악한 것입니다.

당시 국방부는 또 다른 월북 정황의 근거로 구명 조끼를 입었단 점도 들었습니다. 구명조끼 착용 역시 SI 정보 등 첩보를 통해 파악했다는 설명입니다.

이씨가 스스로 구명조끼를 착용한 만큼, 자진해서 북한으로 넘어갔다는 게 당시 국방부 판단이었지만, 국방부는 최근 "월북 증거가 없다"며 입장을 뒤집었습니다. 국민의힘 측은 월북을 의미하는 북한식 표현이 있었던 것만으로 월북 여부를 단정할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블로그 이미지

seesun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928)
책장정리 (37)
생활 속 이야기 (3)
주식 이야기 (9)
[여행] (3)
뉴스브리핑 (855)
[집에서 먹는 음식] (7)
[밖에서 먹는 음식] (1)
memo (0)
1man res (0)
유네스코 세계유산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