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르 피가로의 도쿄 특파원 레지스 아르노 기자는 9일 '우리 의사결정권자들의 한국의 방식에 대한 오만을 참을 수 없다'는 직설적인 제목의 칼럼을 실었습니다.

그는 코로나19 사태 초기에 한국의 방식을 사생활 침해라던 프랑스가 뒤늦게 기본권까지 침해했지만 바이러스 확산을 막지 못했다며 오만방자하다고 비판했습니다.

아르노 특파원은 프랑스 정부 과학자문위원인 감염병 학자 드니 말비 박사가 지난 3월 "한국의 시스템은 극단적으로 사생활 침해적이다. 유럽 차원에서 이 방식을 허용할 수 있을지 모르겠다"고 한 발언을 소개하며, "아시아 국가들의 방식을 무지몽매함으로 치부한 프랑스가 마스크 착용이 아무 소용 없으며 대대적 검사도 무용지물이라 주장해 놓고, 이제는 중국에서 마스크 10억개를 받으려 하고 대규모 검사도 공언했다"면서 태도가 급변한 사실을 지적했습니다.

아르노 기자는 특히 프랑스 정부가 이동제한령으로 시민의 기본권인 통행의 자유를 제한한 것을 두고 "당신들이 사생활 침해 운운한 것을 기억하나"라며 이중적 태도를 비판했습니다.

프랑스는 코로나19 확산세가 심각해지자 지난달 전국에 이동과 여행을 전면 금지하고 약국과 슈퍼마켓, 주유소 등을 제외한 모든 상점의 영업을 중단시켰지만, 확진자는 10일 저녁 기준 12만4천869명으로 늘고 사망자도 1만3천197명에 달했습니다.

아르노 기자는 자국 정치인과 보건 당국자들의 이중적 태도와 바이러스 확산 차단의 적기를 놓친 것에 대해선 "프랑스 엘리트들의 아시아 국가들에 대한 오만방자함이라는 세균을 박멸하고 우리의 자유에 대해 더 고민할 기회가 됐다면 코로나바이러스가 조금이라도 유익했을 것"이라고 일갈했습니다.

"민주주의를 위해 비싼 대가를 치르며 싸운 한국이 이제는 전 세계에서 팬데믹에 잘 대처한 모델로 회자하고 있다"며 한국에 대해 부러움도 감추지 않았습니다.

특히 프랑스가 코로나19의 거센 확산세를 막지 못하고 지난달 지방선거 결선투표를 전격 취소한 것과 한국이 총선을 예정대로 준비하는 상황도 비교하며 "지금 한국인들은 오는 15일 국회의원 선거를 준비 중이다. 프랑스인들이여, 당신들은 (취소된) 그 선거를 기억하는가"라고 글을 맺었습니다.

 


9일 기초과학연구원(IBS)는 코로나19의 원인인 사스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의 고해상도 유전자 지도를 완성했다고 밝혔습니다.

IBS는 '우리나라도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해보자'는 목적으로 2011년 만들어진 기초과학 연구기관으로, RNA연구단을 이끌고 있는 김빛내리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단장)와 같은 학교 장혜식 생명과학부 교수(IBS연구위원 겸임)이, 세계 최초로 코로나19의 RNA 전사체를 분석해내 향후 코로나19 치료제 개발에 크게 기여할것으로 보입니다.

이로써 바이러스 유전자의 정확한 위치를 찾아낼 수 있게 됐습니다. 기존에 발견되지 않았던 RNA에 최소 41곳의 화학적 변형이 일어났음을 확인했습니다.

생명과학 분야 권위지인 셀(Cell)에서는 이 연구에 대한 논문을 9일자 온라인판에 게재했습니다. 결과적으로 이번 연구는 기초과학과 컴퓨터과학이 만난 융합연구의 성과로, 초연결·초지능·초융합으로 대표되는 4차 산업혁명을 가시화시킨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런 연유로 우리나라가 염원해온 노벨상 수상에도 한 발짝 더 다가가도록 한 것으로 보입니다.

 


서울 서초구는, 코로나19 자가격리 지시를 어기고 스타벅스와 음식점에 여러 차례 간 20대 여성을 고발 조치할 예정입니다.

서초구에 따르면 이 여성(27세, 서초구 36번 확진자, 8일 확진)은 3월 24일 입국했으며, 30일 서초구보건소에서 검사를 받고 다음날인 3월 31일 음성 판정을 받았습니다.

또 3일 저녁에는 똑같은 스타벅스에서 2시간 넘게 시간을 보냈고 고깃집에도 들렀다가 밤에는 편의점에 갔다.

이 여성은 귀국시 탔던 미국발 비행기에 코로나19 확진자가 있다고 확인된 4월 4일부터 자가격리 통보를 받고 , 자가격리를 준수할 법적 의무가 생겼습니다.

그러나 이 환자는 통보 당일 스타벅스와 고깃집에 갔고, 다음날 오후 2차례에 걸쳐 똑같은 스타벅스에 또 갔습니다. 6일에도 같은 스타벅스 매장과 돈가스집, 그리고 같은 고깃집에 갔습니다.

이 환자는 자가격리 해제 예정을 앞두고 7일 다시 검사를 받았으며 8일 확진돼 보라매병원으로 이송됐습니다.

감염병예방법이 개정 시행됨에 따라 4월 5일부터는 자가격리 지침을 위반할 경우 처벌이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형으로 강화됐습니다. 

 

블로그 이미지

seesun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928)
책장정리 (37)
생활 속 이야기 (3)
주식 이야기 (9)
[여행] (3)
뉴스브리핑 (855)
[집에서 먹는 음식] (7)
[밖에서 먹는 음식] (1)
memo (0)
1man res (0)
유네스코 세계유산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