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3일까지만 해도 도쿄올림픽 개최된다고 장담하던 일본의 아베 총리가 도쿄와 오카사를 비롯한 7곳 지자체에 긴급사태를 선언하고 우리돈 1200조 원 규모의 긴급경제대책을 발표했습니다. 아베 총리는 일본 경제가 전후 최대 위기에 직면해 있다고 말했습니다.


아베 총리는 기자회견에서 "한 달 뒤 코로나19 감염자가 8만 명을 넘어설 수도 있다"며 대인 접촉을 줄여달라고 당부하며, 도쿄와 오사카 등 7개 지역에 긴급사태를 선언했습니다. 발령 기간은 다음 달 6일까지입니다.


긴급사태를 선언한 지역의 단체장은 외출 자제와 휴교를 요청할 수 있지만 긴급사태 선언 지역에서 도시나 도로를 봉쇄하는 일은 없을 것이며, 전차와 버스 등도 계속 운행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1200조 원 규모의 긴급경제대책을 마련했으며, 경증 감염자 수용을 위해 간토 지역에 1만실, 간사이 지역에 3000실의 호텔 등 숙박시설도 마련했다고 밝혔습니다.


긴급사태를 선언한 날 일본 지역 코로나 확진자 수는 5000명을 넘어섰으며, 도쿄도에서만 80명이 추가로 확진 판정을 받았습니다. 지금까지 일본의 코로나 사망자 수는 108명입니다.

현재 일본의 신주쿠는 인적이 드물 정도로 행인들이 드물 정도로 인파가 급격하게 줄어들었고 일반 국민들의 경우도 슈퍼를 가는 것 외에는 거의 외출을 자제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소지섭 소속사 51k는 7일 “소지섭이 소중한 인연을 만나 백년가약을 맺게 됐다”며 “지난해 열애를 인정했던 두 사람은 금일 4월 7일, 법적인 부부가 됐다”고 밝혔습니다.

소지섭 조은정 커플은, 일생에서 가장 중요하고 행복한 순간을 조용히 간직하고 싶다는 소지섭과 조은정의 뜻에 따라, 결혼식은 직계 가족들끼리 모여 조용히 치르기로 했습니다.

소속사는, 소지섭 조은정 커플 굿네이버스에 5000만원을 기부하고, 교육 취약 계층 아동들에게 태블릿 PC 및 스마트 기기를 지원하는 것으로 식을 대신하기로 해 결혼과 동시에 기부로 미담을 만들었다고 전했습니다.

끝으로 소속사는 “인생의 새로운 시작을 앞두고 있는 두 사람을 축복해 주시기 부탁드린다”며 “소지섭은 앞으로 배우로서 더 좋은 활동으로 보답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소지섭과 조은정은 SBS ‘본격연예 한밤’에서 조은정이 리포터로 활동 당시 만났으며, 지난 2018년 3월 소지섭이 영화 ‘지금 만나러 갑니다’에 대한 인터뷰를 하며 서로에게 호감을 가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화여대에서 한국무용을 전공한 조은정(26)은 2014년 게임 전문 채널 OGN을 통해 아나운서로 데뷔해, '롤챔스 여신' 등으로 불리다가 SBS TV '본격 연예 한밤' 리포터로 활동했습니다.

연예계 데뷔 전에 수영 선수였던 소지섭은 수영으로 전국소년체전 단체전에서 금메달을, 개인전에서 은메달과 동메달을 획득한 경력이 있습니다. 1995년, 소지섭은 청바지 브랜드인 스톰(STORM) 전속모델 1기로 발탁되며 연예계에 데뷔했습니다. 당시 2위는 송승헌이었습니다. 

1995년 모델로 데뷔한 소지섭은 드라마 '발리에서 생긴 일'(2004) '미안하다, 사랑한다'(2004), '주군의 태양'(2013)과 영화 '영화는 영화다'(2008), '오직 그대만'(2011) '회사원'(2012) 등에 출연했습니다. 

 


코로나19가 대변에 평균 22일, 최장 26일까지 생존했다는 중국의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7일 국내에서 코로나19 완치 후 재양성 판정을 받은 확진자는 51명입니다. 코로나19 재양성 사례가 증가하자, 방역당국은 국내 재양성 사례가 재감염보다는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재활성화한 것에 무게를 두고 역학조사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또 완치자 혈액에 바이러스 항체가 얼마나 형성되고, 살아있는 바이러스를 분리·배양할 수 있는지 분석하기로 했습니다.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 본부장은 정례브리핑에서 "병원 또는 생활치료센터 확진자 중 진단검사에서 줄곧 음성으로 나오다가 다시 양성으로 확인되는 사례가 많다"며 "몸에 항체가 생겨도 RT-PCR(실시간 유전자 증폭검사)에서 양성으로 나타나는 사례가 있었다"고 밝혔습니다.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재활성화하는 원인은 아직 역학적으로 규명되지 않았지만, 국내에 50명 넘게 발생한 것에 비춰볼 때 완치자 관리에 구멍이 생긴 것은 분명하다. 특히 화장실 변기를 통한 교차감염 위험이 급부상하고 있습니다.

김우주 고대구로병원 교수는 "코로나19 재양성 확진자는 앞으로 호흡기 검체뿐만 아니라 대변 검체를 이용한 추가적인 검사가 필요하다"며 "중국 사례만 봐도 대변에 의한 교차감염 위험을 무시하기 어렵다"고 지적했습니다. 완치자가 격리해제 이후에도 대변을 통해 극소량의 코로나19 바이러스를 배출하고, 같은 변기를 사용한 가족에게 추가로 전파될 가능성이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중국 과학아카데미는 지난 1월 20일부터 2월 23일까지 코로나19 중증 및 경증 확진자 등 24명을 대상으로 바이러스 배출 특성을 분석하는 연구를 진행해, 확진자 12명 중 10명(83.3%)의 대변 검체에서 코로나19 양성 반응이 나왔습니다. 확진자가 대변으로 바이러스를 배출하는 기간은 평균 22일로 호흡기 검체 10일에 비해 2.2배로 길었습니다.

이런 특성을 고려할 때 재양성 확진자를 대상으로 호흡기 검체 외에 대변도 함께 검사해야 한다는 게 김우주 교수의 주장으로 권고하는 소독법은 대변을 본 뒤 가정용 락스를 이용해 변기를 구석구석 닦는 것입니다.

김우주 교수는 "확진자 검체 중 대변에 가장 오랫동안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살아남았다"며 "재양성 사례가 늘어나는 만큼 완치자에 대한 대변 검체 역학조사를 함께 진행할 필요성이 있다"고 재차 강조했다.

그는 이어 "앞으로 완치자가 격리해제 후 2주일 동안 추가로 자가격리를 하도록 정부 지침을 바꿔야 한다"며 "특히 자가격리 기간에 집에서 공간을 분리하고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 외에 화장실 소독 문제도 신경을 더 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블로그 이미지

seesun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928)
책장정리 (37)
생활 속 이야기 (3)
주식 이야기 (9)
[여행] (3)
뉴스브리핑 (855)
[집에서 먹는 음식] (7)
[밖에서 먹는 음식] (1)
memo (0)
1man res (0)
유네스코 세계유산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