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삼척은 상춘객이 끊이지 않아서 유채꽃밭 갈아엎었습니다.

대구 하중도에는 마스크를 쓰고 꽃구경을 하는 사람들이 제법 몰렸습니다.

강원도 삼척시가 축구장 넓이 7.8배 크기인 5.5㏊ 규모로 조성한 유채꽃밭을 모두 갈아엎었습니다. 코로나19 확산 예방을 위해 축제를 취소하고, 꽃밭 출입까지 통제했지만 상춘객 발길이 끊이지 않자 전염을 막기 위해 극단적인 방법으로 꽃밭을 갈아엎은 것입니다.

삼척시는 유채꽃밭과 벚나무가 이어진 옛 7번 국도에서 차량들이 주·정차하지 않고 통과하도록 했지만 상춘객들이 사진을 찍기 위해 마을 입구에 주차하고 유채꽃밭으로 들어가는 사례가 잇따랐습니다. 삼척시는 이번 주말에 많은 상춘객이 몰려들 것으로 예상되자 3일 오후 트랙터 4대를 동원해 유채꽃밭을 갈아 엎었습니다.


대구 유채꽃 단지 주차장 만차, 길목엔 노점상, 이동로 좁아 '거리 유지' 어려워


코로나19 피해가 가장 심각한 대구의 유채꽃 단지 하중도에는 방문객이 늘고 있습니다. 하중도로 가는 노곡교 남단 주차장에는 수백대의 차가 세우져 있었습니다. 

하중도 입구인 노곡교 길목에 자리잡은 대형 파라솔과 푸드트럭이 있었고, 핫도그, 어묵, 꼬치 등을 파는 노점 간이 탁자에서 술을 마시는 사람도 있었습니다. 하중도로 가는 길에는 사람이 몰리면서 마주 오는 사람과 바짝 붙을 수밖에 없었습니다. 

대구시는 상춘객 유입을 차단하고자 토요일인 4일부터 주말과 공휴일에 하중도를 전면 폐쇄하기로 했지만 평일 오후 하중도 풍경은 여느 관광 명소나 다름없었습니다.

2020년 4월4일 현재 인구 154만여명의 강원도 확진자는 41명, 인구 243만여명인 대구의 확진자는 6734명입니다. 인구수는 2배가 채 안되지만 확진자 수는 160배가 넘는 대구. 많이 힘들고 답답하겠지만 좀더 자중하고, 조심해야 할 때가 아닌가 싶습니다. 

 


긴급재난지원금은 소득하위 70%를 대상으로 4인가구 기준 100만원 지급


재난지원금 대상은 본인부담 건강보험료 활용


추경안 통과되는 대로 빠른 시간내 지급


대상자 선정에 평균 두 달 걸려, 1명 조회에 일주일 걸려


조사 시간 많이 걸려 건강보험료 가장 최신 자료로 조사


가입자 배우자 같은 주소 살면 부부 보험료 합쳐


온라인 등 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서 확인


4인가구 두 사람 직장보험료 합이 19만원이면 지원 대상


긴급재난지원금 대상자 선정 기준이 발표되었습니다.


정부는 3일 발표한 긴급재난지원금 대상자 선정 기준 원칙은, 직장가입자 기준 본인부담 건강보험료가 4인 가구 23만7천원 이하로, 올해 3월 건강보험료 기준 소득 하위 70% 가구에 해당합니다.


긴급재난지원금의 큰 골격은 국민의 소득하위 70%를 대상으로 4인 가구 기준 100만 원을 지급하도록 설계했습니다.


직장가입자의 경우 본인부담 건강보험료가 1인 가구는 약 8만8천원, 2인 15만원, 3인 19만5천원, 4인 23만7천원 이하면 지원 대상입니다.


최근 소득이 줄었지만 건강보험료에 반영되지 않은 소상공인·자영업자 가구에 대해서는 지방자치단체에서 신청 당시 소득 상황을 반영해 지원 여부를 최종 판단하도록 하며, 소득 하위 70%에 해당하더라도 고액 자산가는 긴급재난지원금 대상자에서 제외됩니다. 적용 제외 기준은 추후 마련할 계획입니다.


 


정부는 긴급재난지원금의 대상에서 종합부동산세 대상자는 제외되는 방안을 검토 중입니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소득 하위 70%라고 해도, 재산이 많은 사람이 받는 것은 곤란하다는 점을 감안해서 원칙을 마련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종부세는 매년 6월 1일 현재 개인별로 소유한 주택 또는 토지의 공시가격 합계액이 ▲ 주택(아파트·다가구·단독 등) 공시가 6억원(1세대 1주택자는 9억원) ▲ 종합합산 토지 5억원 ▲ 별도합산 토지(상가·사무실 부속토지 등) 80억원을 초과한 사람에게 부과됩니다.

정부는 재난지원금 지급에 들어가는 재원을 정부 80%, 지방자치단체 20%로 나누는 방안과 관련, 지자체들의 의견을 수렴해 구체적으로 어떻게 나눌지 지침도 만들기로 했습니다.

긴급재난지원금 총 소요 재원은 9조1천억원으로, 7조1천억원은 기존 예산을 지출 구조조정해 마련한 재원으로 2차 추경을 편성하고 나머지 2조원은 지방정부에서 마련토록 한다는 계획입니다.

 

블로그 이미지

seesun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928)
책장정리 (37)
생활 속 이야기 (3)
주식 이야기 (9)
[여행] (3)
뉴스브리핑 (855)
[집에서 먹는 음식] (7)
[밖에서 먹는 음식] (1)
memo (0)
1man res (0)
유네스코 세계유산 (7)